제3407호 | 2018-04-19
리더는 가장 나중에 먹는다.
리더십이란 목표가 무엇이든 팀을 성공으로 이끄는데 필요한 일을 하는 것을 뜻한다.
진정한 리더는 이 목표를 우선시하고 어려울 때 가장 먼저 희생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리더는 가장 나중에 먹는다는 것이다.
- 보드트리 CEO 크리스 마이어스
촌철활인 : 한치의 혀로 사람을 살린다!
리더는 매분 매초 모든 사람에게 서비스 한다는 자세로 임해야 합니다.
리더란 남보다 더 적게 해도 되는 면허가 아니라 남보다 더 많이 해야 할 책임입니다.
자신이 돌보는 사람이 행복할 수 있도록 헌신하고 그들의 이익을 위해 기꺼이 희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리더십은 언제나 인간에 대한 헌신입니다.
윗글의 개인 소견을 말씀드려볼게요. 위 보드트리 컨설팅 회사의 CEO[Chief Executive Officer(최고경영자)]인 크리스 마이어스의 말처럼 리더의 덕목[virtue(德目)]이란 부하직원의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려 팀에 보탬이 됨과 동시에 최고의 성과(Best achievement)를 낼 수 있게끔 잘 이끌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각기 다른 기업에서 종사하고 계신 근로자(Workers, Staff)분들이 생각하는 좋은 회사와 기업에 원하는 내용은 참 많은데요 그중에서 다섯 가지를 나열한다고 한다면 첫 번째가 신바람(excitement) 나는 조직문화(organizational culture)이고 두 번째가 공정한 평가와 충분한 보상을 제공하는 회사, 세 번째가 최고 수준의 직원 복지와 직원 중심의 근무 환경을 제공하는 회사, 네 번째가 체계적인 교육과 국외 연수 등을 제공하는 전문가 집단이 일하는 회사, 다섯 번째가 지속적인 고용 창출(creation of jobs)과 고용 안정화(Employment stability) 라고 합니다. 상위 다섯 가지를 나열해 보았는데 이 중에서 첫 번째인 신바람 나는 조직문화가 리더의 덕목과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만약 리더의 역할 중 하나인 부하직원의 능력을 향상시켜 최고의 성과를 내기 위해 강한 압박만 하며 희생을 하지 않는다면 어떤 일이 일어나겠습니까. 리더의 강한 내압[Internal pressure(內壓)]과 외압[External pressure(外壓)]에 의해 마지못한 성과(Reluctant achievement)가 일어난다고 하면 그것이 결과적으로 성과는 있지만, 유지가 어렵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위와 같은 예시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직원들의 스트레스(stress)와 리더들에 대한 반감[hostility (反感)]만 유발[induction(誘發)]되기 때문에 순간의 성과는 훗날 독이 되어 다시 돌아올 수 있습니다. 기업이란 순간의 성과에 눈이 멀어 미래를 보지 못하면 안되기 때문에 리더의 위치는 포용하고 헌신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많은 분들이 좋은 리더를 만나 꾸준한 자기 계발과 성장을 통해 훗날 좋은 리더가 될수 있는 덕목들을 갖추시길 기원하며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매일매일 좋은글귀(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탁월한 인물은 결코 남과 비교하지 않는다. (0) | 2018.04.25 |
---|---|
불편함을 피하지 말라. 생산적 충돌을 장려하라. (0) | 2018.04.24 |
멀미는 왜 하는지 아세요? (0) | 2018.04.18 |
고성과 기업은 사람중심 기업이다. (0) | 2018.04.17 |
사기가 높아지면 성과도 급속히 높아진다. (0) | 2018.04.16 |